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

노후준비 어떻게 해야할까? (1탄)

by ⅩX㎹V∪ 2021. 6. 5.

1. 노후준비, 초수명 시대?

 안녕하세요. 키무호재입니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에서 발간한 '초수명시대의 평생소득 만들기'라는 책을 우연히 접하며, 아직은 이른 나이일지는 모르지만 노후에 대해 생각하게 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또한 현재는 100세 시대를 넘어 초수명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어떻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안을 준비하고, 그를 위한 평생소득을 어떻게 마련하면 좋을지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기네스북에 따르면 프랑스의 잔 루이스 칼망 할머니는 122살을 살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 산 사람으로 등재되었다고 합니다. 현실적으로 감이 오지 않는 수치이지만, 현시대의 한국인을 기준으로 이입을 하자면  60세쯤 은퇴한다는 가정하에 살아온 만큼 그 이상을 더 살아야만 닿을 수 있는 기록입니다. 물론 그분은 예외적으로 긴 천수를 누리신 것은 사실이지만 대한민국의 기대수명은 20년 기준 82세라고 하며 해를 거듭할수록 기대수명의 평균치는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결국 현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은퇴 후 30~35년 정도의 노후를 준비해야 하는 것입니다.

 

 

 2. 노후자금은 왜 필요로 할까?

 노후보장 패널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중고령자의 적정 생활비는 부부 243만 원, 개인 154만 원 정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금액은 단순히 현재 기준이므로 물가가 2% 상승한다고 가정한다면, 미래의 우리가 노후로 필요로 하는 자금은 더 커지게 될 것입니다. 결국 부부의 노후생활 기간을 10년으로 잡았을 경우 2억 원 이상이 필요로 하며, 수명이 늘어날수록 필요 노후자금은 더 늘어나게 됩니다. 노후엔 노동이나 사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소득이 한계가 있으니 초수명시대를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평생소득이 필요한 이유

  • 초수명 시대 대비 (지금 이 순간도 인간의 수명은 늘어나고 있다!!..)
  • 자산 중심의 재무설계의 불확실성 보완
  • 노후 지출과 소득을 매칭 하여 자산-부채를 계획적으로 관리 가능

 

 

3. 4가지 재산 : P.I.S.A

 노후를 본격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선 노후의 지출을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노후 지출의 종류로는 노후생활비, 예비자금(비상용), 의료비, 잉여자금(투자용) 이 있습니다. 파악된 노후 지출에 대해 필요한 자산은 PISA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P.I.S.A?
    • P : Pension, 연금자산
    • I : Insurance, 보험
    • S : Safe asset, 안전자산
    • A : Active asset, 투자자산

 

 PISA를 활용하자면, 노후생활비 중 최저 생활비와 필요 생활비는 필수 지출이자 평상 지출해야 하는 항목이므로 사망 시까지 매월 일정 금액을 받을 수 있는 '연금자산'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비는 언제 얼마의 금액이 지출될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보험자산을 활용, 예비자금과 같은 임의 지출은 위험도가 높은 자산보단 안전자산으로 관리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마지막으로 잉여자금은 자산증식을 위해 투자자산으로 장기 운용하는 것이 효율 적입니다.

 

 2탄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평생소득이 있는지, 연금자산을 위주로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찾아보니 미래에셋은퇴연구소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어서 본문 내용 공유드립니다. (광고 x)↓↓↓

https://investpension.miraeasset.com/contents/pubView.do?idx=12917 

 

초수명시대의 평생소득 만들기

.

investpension.miraeasset.com

 

댓글